정보

2025 청년도약계좌 확대되는 혜택

복만쥬 2024. 12. 22. 21:31

 

요즘은 시국이 시국인만큼 돈을 투자하기보다 모으고 지키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정부에서 청년 지원 핵심 정책으로 삼아 시행중인 '청년도약계좌' 에 대해서, 그리고 2025년에 확대되는 청년도약계좌 혜택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만 19세~34세까지의 청년들을 위한 특별한 저축 상품으로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난 2023년 6월에 도입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장점

 

높은 이자율

청년도약계좌는 최대 연 9.54%의 높은 이자율을 제공합니다.

 

정부 지원

납입액에 따라 정부가 3~6% 의 추가 지원금을 지원합니다.

 

세금 혜택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신용 점수

2년 이상 가입, 누적 800만원 이상 납입 시에는 개인신용평가점수를 최소 5~10점 이상 추가 부여받게 됩니다.

 

목돈 마련

5년 후 약 5,000만원 이상의 목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

 

 

 

2025년에 확대되는 혜택

 

정부가 지난해 말 목표로 했던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수는 300만명이었지만, 지난 7월 말 기준하여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중도해지율이 9.5%에 육박하여 계좌 유지율이 낮았다고 하네요. 이에 정부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혜택 강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가입대상 확대

 

1. 소득기준

개인소득 : 총 급여 7,500만원 이하(이전 6,000만원에서 상향됨)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이전 180%에서 상향됨)

2. 추가 가입대상

군 복무자 : 신청 직년년도 또는 전전년도에 군 복무를 한 경우, 군 장병 급여만으로도 가입 가능

육아휴직 중인 분들, 현재 군 복무 중인 분들도 가입할 수 있게 됩니다.

 

 

정부 기여금 지급 한도 확대

 

1. 기여금 상한액 인상 : 월 최대 24,000원에서 33,000원으로 증가했습니다.

2. 매칭 한도 확대 : 모든 소득 구간에서 매칭 한도를 납입 한도인 월 70만원까지 확대했습니다.

3. 추가 매칭 비율 : 확대된 구간(월 40만원~70만원)에 대해 3.0%의 매칭 비율이 적용됩니다.

4. 소득별 혜택

 

[출처 - 서민금융진흥원]

 

- 개인소득 2,400만원 이하 : 기존 40만원 한도 6% 매칭에 더해, 추가 구간 3% 매칭 적용

- 다른 소득 구간 : 기존 매칭 비율에 확대 구간 3% 추가 적용

 

이러한 변경으로 5년 만기 시 최대 60만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게 되어, 연 9.54% 수익률의 적금 효과를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별 중도해지사유 확대

 

청년들의 생활 변화와 재정적 필요를 고려하여 도입되었으며, 이를 통해 청년도약계좌의 유지 유인을 높이고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1. 결혼을 하는 경우

2. 자녀를 출산하는 경우

3. 3년 이상 계좌를 유지한 경우,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비과세, 정부 기여금의 60% 수준 지급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혜택이 확대된 만큼, 더 많은 청년들이 이 기회를 활용하여 안정적인 자산 형성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